• 관리번호 : 2022-608
    수직갱, 유수, 집중호우, 홍수, 대심도 터널, 도심침수, 빗물 배수 수직갱 내부 유수 흐름 제어가 가능한 대심도 터널

    본 기술은 저유량 조건에서도 유수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수직갱 하부의 수 충격을 감세하는 것이 특징임

    • 기술분야 :시설물
    • 연구자 :이동섭
    • 기술완성도 :TRL 7 (시제품 신뢰성 평가)
    • 출원번호 :10-2018-0137026
    • 등록번호 :10-1973398
기술개요
대심도 터널의 수직갱은 내부 유수의 흐름과 위치 변화로 인하여 하부 구조물과 배수용 터널로 연결되는 접합부에 큰 충격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내부적으로 구조적인 불안전성이 유발
본 기술은 저유량 조건에서도 유수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수직갱 하부의 수 충격을 감세하는 것이 특징임
 
기존기술의 문제점
수직갱 내부의 유수 흐름제어를 위한 공법으로, 수직갱을 2단으로 분리하여 낙하거리를 짧게 하는 공법, 계단형 돌출판을 설치하여 단계적으로 에너지를 소산하는 공법, 수직갱 하부와 터널 연결부 사이에 월류벽을 설치하는 공법이 도입

   - 구조적인 한계로 유수의 낙하 및 흐름 저하 현상이 발생하여 유량 배제 효율이 저하됨

   - 흐름 에너지의 소산 방안이 부재하여 터널 하부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이 취약

 
기술의 차별성
저유량 조건에서도 유수의 흐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수직갱 하부의 수 충격을 감세

   - 본체에 유입된 유수의 위치 및 운동에너지를 상부감세장치에서 1차 감세하고, 1차 감세된 유수의 위치 및 운동에너지를 상부감세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감세장치에서 2차 감세

 
기술활용분야
도심 침수대응을 위한 고용량 빗물 배수터널 및 저류배수 시설, 지하도로 및 터널의 배수 시설


TBM시장 전망을 통해 추정한 세계 대심도 시장은 2020년에 1607277억 원 수준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됨
국내 대심도 터널 구축 관련 계획은 U-SMARTWAY, 수도권지하고속도로, 부산지하고속화도로 등이 제안되고 있으며, 2020년의 총 사업비는 446,400억 원으로 추정됨
 
관련 지재권현황

기술명칭

주발명자

특허번호

부력을 이용한 방수문 가동구조

박인환

10-2047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