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번호 : 2022-234
    GPS, 녹조지도, 수질관리 GPS 기반 무작위 샘플링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한 녹조지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저수지 또는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의 공간적 분포특성 및 시간적 이동특성을 측정하는 기술

    • 기술분야 :환경 플랜트
    • 연구자 :황태문
    • 기술완성도 :TRL 4 (부품/시스템 성능 검증)
    • 출원번호 :10-2017-0147718
    • 등록번호 :10-1936586
기술개요
저수지 또는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의 공간적 분포특성 및 시간적 이동특성을 측하는 기술
GPS-기반 무작위 샘플링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녹조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특징임
 
기존기술의 문제점
최근 무인비행체(UAV)에 분광센서를 탑재하여 활용하고 있지만, 위성영상과 동일하게 측정대상 지역에 대한 동일 시 점의 현장 수질분석 조사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함
 
기술의 차별성
초분광센서 영상에서 추론된 조류지수(Algae Factor: AF)GPS-기반 이동형 무인부체에서 무작위 샘플링에 의해 측정된 클로로필-a 농도 또는 피코시아닌(Phycocyanin) 농도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녹조지도를 작성
 
기술활용분야
저수지, 하천, 댐 등 상수원의 수질관리

1999~2020년까지의 시도별/사업별 수계관리 비용지출 규모는 경기도 35698억 원(44%), 강원도 15515억 원(19%), 충청북도 7120억 원(9%), 서울특별시 3073억 원(4%), 인천광역시 530억 원(1%).